사업단소개

단위과제(6개) 소개

  • 사업단소개
  • 단위과제(6개) 소개
01글로벌 산학협력 선도

과제 책임자

김장현 교수

목표 및 미션

  • 글로벌 교육 · 연구 생태계 구축
    • 외국인 유학생 비율 25%
    • AI분야 국제어 강의 비중 최대 75%
    • AI 글로벌 전공트랙 신설
    • AI 분야 논문 및 창업/특허 맞춤 인센티브 도입
  • Artistic Creator
    • 글로벌 창업 기업 14개 설립
    • 글로벌 투자 유치 실적 70억원
    • 창업 연계 해외대학 석사과정 3개 트랙
    • 교원 창업 휴직 및 인센티브 수혜자 연간 10명
  • 창업동아리 발굴 / 육성
    • 글로벌 지식재산권 실적 17% 증가
      (해외특허출원등록, SCI등 포함)
    • 성숙된 그로벌 기술이전 · 사업화
    • 노하우를 통한 해외 판로 개척
  • 세계 수준 AI 인재 배출
  • 글로벌 창업 모델 창출
  • 지식재산 기반 글로벌 진출

SKKU RISE 세부 추진 전략

  • AI 분야 글로벌 인재 유치 및 확보
    • 글로벌 인재 유치 위한 맞춤형 인센티브 도입
    • AI 특화 연구자 유치 인센티브 제도
    • 글로벌 AI 교육 콘텐츠 공동 개발
      (KT 및 MS 등)
  • 글로벌 창업 혁신
    • 글로벌 데모데이 운영 등 실행 중심 창업교육 확대
    • 기술 기반 실습•IR•VC 연결로 사업화 전환 강화
    • 글로벌 트랙 시장 테스트로 후속성과 연계 기반 확보
  • 글로벌 지식재산권 확보
    • 데이터 기반 글로벌 기술 발굴 프로세스 구축
    • 표준특허 중심 글로벌 기술권 확보 추진
    • 글로벌 IP 확산 위한 멘토링 제도 운영
02미래인재 글로벌 역량강화

과제 책임자

송교직 교수

목표 및 미션

  • 01국내 핀테크 산업
    글로벌 도약을 위한
    전문인력의 양성
    글로벌 교육

    글로벌 핀테크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

  • 02금융기관 디지털
    트랜스포메이션을 주도할
    핀테크 전문인력의 양성
    실무중심교육

    국내외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중심형 교육

  • 03AI, 데이터사이언스,
    경영의 융합형
    글로벌 인재 양성
    데이터융합교육

    AI, 빅데이터분석 기반의 비즈니스 분석기법 교육

글로벌 핀테크 산업을 선도하는 혁신 인재 양성

SKKU RISE 세부 추진 전략

  •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
    • 스티븐스공과대학과의 복수학위(dual-degree) 운영
    • USF와의 복수학위 (dual-degree) 운영
    • 글로벌 캡스톤 프로젝트를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
  • 글로벌 창업 혁신
    • 금융 빅데이터 저장 및 검증을 위한 Fintech Lab을 구축하고 실습교육 강화
    • 핀테크랩 산하 벤처기업에서의 핀테크인턴십을 통한 실무교육강화
  • 글로벌 지식재산권 확보
    • 글로벌 금융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경영 교육
    • 머신러닝, Python 프로그래밍 교육
    • 성균관대 슈퍼컴퓨팅센터를 활용한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분석 교육 강화
03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

과제 책임자

김장현 교수

목표 및 미션

  • 산학연
    인재양성
    • 1

      신학연 교육과정

    • 2

      표준현장실습

    • 3

      캡스톤 디자인

    • 4

      취•창업 역량강화

  • 지산학
    가치창출
    • 5

      서울전략산업 특화 UNIC

    • 6

      산학공동연구개발과제

    • 7

      서울캠퍼스타운

    • 8

      가족회사 프리미엄 멤버십

  • 지역사회
    공헌
    • 9

      RISE 리포트

    • 10

      Upskill 재직자교육

    • 11

      SKKU 기술혁신자문단

    • 12

      RISE 성과확산 플랫폼

SKKU RISE 세부 추진 전략

  • 산학연 인재양성
    • 서울전략산업 분야 계약학과 신규 설치 추진
    • 지역사회 문제해결/산업체 연계/글로벌 연계 캡스톤디자인 확대 운영
    • 문제해결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현장실습 운영 활성화
  • 지산학 가치 창출
    • 서울 전략산업 기반 기업협업센터 MATE UNIC 신설
    • 서울 클러스터 연계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운영
    • UNIC 연계 고부가가치 창업기업 집중발굴 및 육성
  • 지역사회 공헌
    • 성과 확산 및 공유를 위한 RISE 리포트 발행
    • AI, 데이터사이언스 등 Upskill 재직자 맞춤형교육과정 강화
    • 지역산업 기술지원을 위한  SKKU 기술혁신자문단 운영
04AI 클러스터 혁신 생태계 확산

과제 책임자

김재현 교수

컨소시엄 참여대학

동국대, 숙명여대, 서울과학기술대, 홍익대 *서울 RISE 유일 AI 클러스터

미션

05창조산업 인재양성

과제 책임자

이재준 교수

목표 및 미션

AI 기반 풀스택 게임디자이너 양성 AI와 인문예술 융합 중심의 창의적 인재 양성, 게임디자인 분야 글로벌 Top 20 교육과정으로 발돋움
  • 01AI 융합 교육을 통한
    창의적 게임 인재 양성
  • 02산업현장 연계
    취업 및 창업 지원 강화
  • 03AI 게임 디자인 방법론
    및 연구 성과 확산
  • 04서울시 창조산업
   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
    진출 기반 마련
  • 대학 혁신
    • 교육 혁신
    • 연구역량 강화
    • 대학 경쟁력 제고
    • 지속가능한 발전
  • 지역 혁신
    • 서울시 창조산업 육성
    • 창조산업 일자리 창출
    • 산업구조 고도화
    • 사회적 가치
06지역현안 문제해결

과제 책임자

이준희 교수

목표 및 미션

구로 전통시장 상권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상설 인형극 거리공연 및 축제 개최
  • NOW

    지역경제 활성화 필요성

    • 위축된 구로구 상권
    • 지역 이미지 리브랜딩
    • 소비활성화를 위한 청년세대 유입의 필요성

    문화 인프라 관련 수요

    • 문화환경으로 서울시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
    • 구로문화재단이 어린이를 위한 공연을 제공하나 지원 미흡
    • 다문화 가정을 위한 포용의 콘텐츠에 대한 수요
  • SKKU Vision 2030+
    • 학생성공
    • 가치창출
    • 상생공유파트너십
  • SKKU SOUL MATE
    • Magnificent AI
    • Artistic Creator
    • Talented Fintech
    • Empathetic Society
  • To Be